비모수적 방법

지금까지 게시물의 통계적 추론은 대부분 모집단이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가정 하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도저히 정규분포로 볼 수 없는 경우도 많이 발생한다. 모집단 분포를 정규분포, 지수분포 등 모수를 갖는 함수 형태의 분포로 가정하고 접근하는 통계적 방법을 모수적(parametric) 방법이라 한다. 반대로 모집단 분포에 대한 가정 없이 접근하는 통계적 방법을 비모수적 방법(non-parametric method)이라 한다.

모수적 방법은 비모수적 방법에 비해 더 효율적이기 때문에 가능하면 모수적 방법을 사용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중심극한정리를 이용하여 표본평균의 분포를 근사적으로 정규분포라 하고 접근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모집단의 분포를 무리하게 모수적 분포로 가정하면, 잘못된 결론을 얻을 수 있으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비모수적 방법은 모수적 방법에 비해 비효율적이지만,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1. 최소한의 가정만을 사용하므로, 모수적 가정이 잘못되어 생기는 오류의 가능성이 적다.
  2. 범주형 자료와 같은 순위척도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3. 적합도 검정과 같이 모수적 가정에 대한 검정 방법을 제공한다.
  4. 순위(rank)나 부호(sign)에 기초한 방법 위주이기 때문에, 이상치(outlier)의 영향을 덜 받는다.

1. 부호 검정

부호 검정(sign test)은 분포의 중앙값(median)에 대하여 검정하는 기법으로, 귀무가설은 \dpi{100} H_0: \mu = \mu_0으로 설정된다. 표본자료에 대하여 \dpi{100} \mu_0보다 큰 것에는 (+) 부호를, 작은 것에는 (-) 부호를 부여하고 (+) 부호의 개수와 (-) 부호의 개수가 비슷하면 \dpi{100} \mu_0에 대해 대칭이므로 귀무가설을 채택하고, 개수의 차이가 크면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표본 중에서 \dpi{100} \mu_0와 같은 값을 갖는 데이터는 분석에서 제외시킨다.

귀무가설 \dpi{100} H_0: \mu = \mu_0가 참이라면, 중앙값 \dpi{100} \mu_0를 중심으로 분포가 반반씩 나누어지므로 (+) 부호와 (-) 부호가 나올 확률이 0.5가 된다. 따라서 \dpi{100} n개의 부호 중 (+) 부호의 개수를 \dpi{100} X라 하면, \dpi{100} X는 이항분포 \dpi{100} B(n, 0.5)을 따른다. \dpi{100} X=x로 관측된 경우, 대립가설의 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이 검정하낟.

모집단 분포의 중심위치(중앙값)에 대한 검정 \dpi{100} H_0: \mu = \mu_0
검정통계량: \dpi{100} \mu_0보다 큰 데이터의 개수, \dpi{100} X=x

  1. \dpi{100} H_1: \mu > \mu_0인 경우, \dpi{100} p_0 = P(X \geq x ~|~ p=0.5) \leq \alpha이면 귀무가설 기각
  2. \dpi{100} H_1: \mu < \mu_0인 경우, \dpi{100} p_0 = P(X \leq x ~|~ p=0.5) \leq \alpha이면 귀무가설 기각
  3. \dpi{100} H_1: \mu \neq \mu_0인 경우,
    \dpi{100} x < n/2인 경우, \dpi{100} p_0 = 2P(X \leq x ~|~ p=0.5) \leq \alpha이면 귀무가설 기각
    \dpi{100} x \geq n/2인 경우, \dpi{100} p_0 = 2P(X \geq x ~|~ p=0.5) \leq \alpha이면 귀무가설 기각

* 표본개수가 충분히 크다면 정규분포로 근사할 수 있겠으나, 연속성 보정이 필요하고 꼬리 부분의 상대오차가 유의하기 때문에, 가능한 이항분포를 사용하여 정확히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런 검정

관측된 표본이 어떤 패턴이나 경향이 없이 랜덤하게 구성되었다는 귀무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 런(run) 검정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어떤 동전을 던지는데 10회 연속 앞면이 나왔다면, 이 동전이 정상적인지 의심해볼 수 있다.

만약 동전을 20회 던져서 ‘H H T T H T H H H H T H H T T T T T H T’라는 결과가 나왔을 때 연속된 앞면(H), 혹은 뒷면(T)의 결과를 ‘런’이라 한다. 결과를 다시 정리하면 ‘HH, TT, H, T, HHHH, T, HH, TTTTT, H, T’이므로 10개의 런이 나오고, 가장 긴 런의 길이는 5가 된다. 런의 개수가 너무 적거나 너무 많을 때 표본의 임의성(randomness)를 의심하게 된다.

런 검정에서는 표본 데이터를 서로 배타적인 2개의 범주로 나누어 접근한다. 예를 들어, 불량품과 양품, 동전의 앞면과 뒷면, 홀수와 짝수, 중앙값보다 큰 수와 작은 수 등으로 범주를 정할 수 있다.

표본 자료를 두 개의 범주로 나누어 하나의 범주에 속하는 표본자료의 개수를 \dpi{100} n_1이라 하고 다른 범주에 속하는 자료의 개수를 \dpi{100} n_2라 하자. \dpi{100} n_1과 \dpi{100} n_2에 따른 하한과 상한 임계치를 보고 런의 개수가 임계치 표에서 구한 하한치 이하이거나 상한치 이상이면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표본 데이터의 랜덤성에 대한 검정 \dpi{100} H_0: 확률표본이다.
검정통계량: 런의 개수(\dpi{100} R)

  1. \dpi{100} H_1: 양의 상관 관계 \dpi{100} \Rightarrow \dpi{100} R \leq c_\alpha이면 귀무가설 기각
  2. \dpi{100} H_1: 음의 상관 관계 \dpi{100} \Rightarrow \dpi{100} R \geq c_{1-\alpha}이면 귀무가설 기각
  3. \dpi{100} H_1: 상관 관계 있음 \dpi{100} \Rightarrow \dpi{100} R \leq c_{\alpha/2} 이거나 \dpi{100} R \geq c_{1-\alpha/2}이면 귀무가설 기각

 * 런과 정규분포

\dpi{100} n_1, ~n_2가 각각 10보다 클 경우에는 런의 분포가 평균 \dpi{100} \mu_R = \frac{2n_1n_2}{n_1+n_2} +1, 분산 \dpi{100} \sigma_R^2 = \frac{2n_1n_2 (2n_1n_2-n_1-n_2)}{(n_1+n_2)^2(n_1+n_2-1)}인 정규분포를 근사적으로 따르는 것이 알려져있다. 즉, \dpi{100} Z_0 = \frac{R - \mu_R}{\sigma_R}을 이용하여 검정할 수 있다. 양측 검정의 경우를 예로 들면, 런의 수가 너무 적어서 \dpi{100} Z_0 \leq -z_{1-\alpha/2}이거나, 너무 많아서 \dpi{100} Z_0 \geq z_{1-\alpha/2}이면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3. Wilcoxon 순위합 검정

두 모집단의 중앙값을 각각 \dpi{100} \mu_1, \mu_2라 할때, 귀무가설 \dpi{100} H_0: \mu_1 = \mu_2에 대하여 비모수적으로 검정하는 방법을 Wilcoxon 순위합 검정, 혹은 Mann-Whitney 검정이라고 한다. 두 모집단의 분포에 대해서는 아무런 가정도 하지 않으나, 두 모집단은 서로 독립이어야 한다.

첫 번째 모집단에서 \dpi{100} n_1개의 표본을 추출하고 두 번째 모집단에서 \dpi{100} n_2개의 표본을 추출했다고 하자(단, 편의를 위해 \dpi{100} n_1 < n_2) 전체 표본의 수는 \dpi{100} n_1 + n_2이 되며, 이를 크기순으로 나열하여 가장 작은 것에 순위 1을, 가장 큰 것에 순위 \dpi{100} n_1 + n_2를 부여한다. 순위를 부여할 때 같은 값의 표본들이 있으면 평균값을 부여한다. 예를 들어, 순위 5~8이 동일한 값을 가지면 각각 평균 순위 6.5를 부여한다.

첫 번째 표본에 속하는 데이터의 순위합을 \dpi{100} R_1, 두 번째 표본에 속하는 자료의 순위 합을 \dpi{100} R_2라 하면, 아래와 같이 \dpi{100} U_1 = u_1,~U_2 = u_2, 그리고 최소치 \dpi{100} u = min(u1, u2)를 계산한다. 다음의 정리와 같이 대립가설의 형태에 따라 분포표로부터 p-값을 \dpi{100} p_0 = P(U \leq u | n1, n2) 같이 구하여 가설을 검정한다.

\dpi{100} U_1 = R_1 - \frac{n_1(n_1+1)}{2},~ U_2 = R_2 - \frac{n_2(n_2 + 1)}{2}

검정통계량  \dpi{100} U_1, U_2, U = min(U_1, U_2)
귀무가설  \dpi{100} H_0: \mu_1 = \mu_2

  1. \dpi{100} H_1: \mu_1 > \mu_2인 경우, \dpi{100} p_0 = P(U \leq u_2 | n_1, n_2) \leq \alpha이면 귀무가설 기각
  2. \dpi{100} H_1: \mu_1 < \mu_2인 경우, \dpi{100} p_0 = P(U \leq u_1 | n_1, n_2) \leq \alpha이면 귀무가설 기각
  3. \dpi{100} H_1: \mu_1 \neq \mu_2인 경우, \dpi{100} p_0 = 2 \times P(U \leq min(u_1, u_2) | n_1, n_2) \leq \alpha이면 귀무가설 기각

4. Wilcoxon 부호 있는 순위 검정

두 모집단이 독립이 아니라 일대일로 대응되는 경우, 두 모집단 중앙갑싀 차이에 대한 비모수적 검정 방법으로 Wilcoxon 부호 있는 순위 검정을 사용한다. 이 방법은 쌍체(pairwase) t-검정에 대응되는 비모수적 방법이다.

두 모집단으로부터 \dpi{100} n개의 자료 쌍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각 쌍의 차이에 절댓값을 취하고 크기순으로 나열한다. 차이의 값이 0이 나오는 경우는 제외하고 차이의 절댓값이 가장 작은 것을 순위 1로 시작하여 크기순으로 순위를 부여한다. 순위를 부여할 때 동일한 값이 나오면 순위의 평균을 부여한다.

원래의 차이가 (+) 부호를 가지는 쌍의 순위합을 \dpi{100} W_+, (-) 부호를 가지는 쌍의 순위합을 \dpi{100} W_-로 놓고, 두 값 중 작은 값을 \dpi{100} W로 놓는다. 귀무가설 \dpi{100} H_0 : d=\mu_1 - \mu_2 = 0에 대하여 대립가설의 형태에 따라 다음 정리에 준하여 가설 검정을 수행한다.

귀무가설 \dpi{100} H_0 : d = \mu_1 - \mu_2 = 0
검정통계량 \dpi{100} W_-, W_+, W = min(W_-, W_+)

  1. \dpi{100} H_1: d>0인 경우, \dpi{100} W_- \leq w_{\alpha;n}이면 귀무가설 기각
  2. \dpi{100} H_1: d<0인 경우, \dpi{100} W_+ \leq w_{\alpha;n}이면 귀무가설 기각
  3. \dpi{100} H_1: d \neq 0인 경우, \dpi{100} W_- \leq w_{\alpha/2;n}이면 귀무가설 기각

* 유효 표본개수 \dpi{100} n이 충분히 크면 정규분포로 근사할 수 있으며, 이때 평균이 \dpi{100} \mu_W = \frac{n(n+1)}{4}, 분산이 \dpi{100} \sigma_W^2 = \frac {n(n+1)(2n+1)} {24}이 되므로, 표준화 통계량 \dpi{100} Z_0 = \frac{W-\mu_W}{\sigma_W}을 이용하여 검정할 수 있다. 그러나 가급적이면 정확한 분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Kruskal-Wallis 검정

Kruskal-Wallis 검정은 일원배치법에 대응하는 비모수 검정으로서, 3개 이상의 모집단을 비교하는데 사용된다. 모집단이 정규모집단인 경우에는 평균의 동일성(\dpi{100} H_0: \mu_1 = \mu_2 = \cdots = \mu_k)을 검정하기 위해 F-통계량을 사용하였으나, 정규분포로 가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Kruskal-Wallis 검정통계량을 사용한다.

모집단 \dpi{100} i로부터 얻은 표본의 크기를 \dpi{100} n_i~(i=1,2,\cdots, k)라 하면, 전체 표본의 크기는 \dpi{100} n = n_1+n_2 + \cdots + n_k가 된다. 이 전체 표본을 크기순으로 나열하여 순위를 부여한다. 이때 동일한 값을 가진 표본이 있으면 순위의 평균값을 각각 부여한다. 각 모집단 \dpi{100} i의 표본에 대응하는 순위의 합을 \dpi{100} R_i이라 하면, Kruskal-Wallis 검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귀무가설 \dpi{100} H_0: \mu_1 = \mu_2 = \cdots = \mu_k
대립가설 \dpi{100} H_1: 적어도 하나 이상의 \dpi{100} \mu_i는 다르다.

\dpi{100} H = \frac{12}{n(n+1)} \sum^k_{i=1} \frac{R_i^2}{n_i} - 3(n+1)

검정통계량 \dpi{100} H \geq \chi^2_{1-\alpha; k-1}이면 귀무가설 기각

* 각 표본의 크기가 충분히 큰 경우(5 이상), 통계량 \dpi{100} H는 귀무가설 하에서 근사적으로 자유도 \dpi{100} k-1인 카이제곱분포를 따른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dpi{100} H의 값을 계산하여 유의수준 \dpi{100} \alpha일 때의 카이제곱 분위수 \dpi{100} \chi^2 _{1-\alpha; k-1}보다 크면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6. Friedman 검정

Friedman 검정은 Kruskal-Wallis 검정의 확장으로서, 이원배치법 실험에서 얻어진 자료를 비모수적인 방법으로 검정한다. 단, 두 요인 간에 교호작용이 없는 경우에 사용된다. 여기서 관심의 대상이 되는 요인을 \dpi{100} A라 하고, 실험 환경의 차이를 나타내는 요인, 즉 블록인자를 \dpi{100} B라 한다. 이러한 실험계획을 난괴법(randomized block design)이라 한다.

요인 \dpi{100} A의 수준 수를 \dpi{100} k, 요인 \dpi{100} B의 수준 수를 \dpi{100} r이라 하자. 요인 \dpi{100} B의 각 수준 내에서 데이터를 크기순으로 나열하여 순위를 부여하고, 각 수준별 순위 합계를 구한다. 이때 동일한 값을 가진 표본이 있으면 순위의 평균값을 각각 부여한다. 요인 \dpi{100} A의 \dpi{100} i번째 수준에서 순위의 합계를 \dpi{100} R_i라고 할 때, 요인 \dpi{100} A의 수준에 따라 구별되는 \dpi{100} k개 모집단의 동일성을 검정하기 위해서 다음의 정리와 같이 Friedman 검정을 사용한다.

귀무가설 \dpi{100} H_0: \mu_1 = \mu_2 = \cdots =\mu_k
대립가설 \dpi{100} H_1: 적어도 하나 이상의 \dpi{100} \mu_i는 다르다.

\dpi{100} F=\frac{12}{k(k+1)r} \sum^k_{i=1}R_i^2 - 3r(k+1)

검정통계량 \dpi{100} F \geq \chi^2_{1-\alpha;k-1}이면 귀무가설 기각

* 귀무가설 하에서 검정통계량 \dpi{100} F는 \dpi{100} k \geq 4인 경우에는 근사적으로 자유도 \dpi{100} k-1인 카이제곱분포를 따른다는 것이 알려져있다. 따라서 \dpi{100} F의 값을 계산하여 유의수준 \dpi{100} \alpha일 때의 카이제곱분포의 꼬리값 \dpi{100} \chi^2 _{1-\alpha; k-1} 보다 크면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카테고리: Statistics

0개의 댓글

답글 남기기

Avatar placeholder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