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의 창의력

어느 한 집단에 속해있다는 말은 그 집단의 다른 사람들과 비슷한 행동을 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군인의 신분이라면 군대라는 집단에 속하여 다른 군인들과 마찬가지로 훈련을 받는다. 학생 집단에 속한 사람들은 모두 하나 같이 공부를 한다. 집단은 하나의 목표를 가지고 있다. 군대는 국방이라는 목표를, 학생은 공부라는 목표를 갖고 있다. 인간이 지극히 사회적인 동물이라는 관점에서 집단의 인간들과, 목표에 어긋나는 다른 행동을 한다는 것은 상당히 눈에 띄게 마련이다.

나는 의대생이기 때문에 의대생의 집단에 속해있다. 의대생 집단의 목표라 함은 무릇 아침부터 저녁까지 수업을 듣고 시험 공부를 하는 것이다. 사실 학기 중에는 정말 그게 “전부”이다. 특히 기초의학과 임상의학 전반에 관한 지식을 쌓는 본과 1학년, 2학년(일부의 경우 예과 2학년까지) 시기에 다른 목표를 고민해볼 여유조차 없는 것이 사실이다.

위 그림은 인터넷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의대생 뇌구조 그림이다. 누가 이 그림을 만들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분명 나름의 통찰력이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게 생각한 이유는 “창의력 중추가 있던 흔적” 때문이다.

현재의 의대생들은 하나도 빠짐없이 공부 꽤나 하는 학생이었다고 단언할 수 없다. 배치표상 40여개의 의과대학이 나타난 이후에 서울대 공대가 나타나는 현 시점에서 의대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분명 어느 정도 수준 이상의 학습 능력을 지니고 있었어야 했다. 그 학습 능력이 암기력, 창의력, 그리고 암기력과 창의력의 중간쯤에 위치한 사고력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생각한다면 의대생들은 분명 입학 전까지만 해도 꽤 괜찮은 정도의 창의력을 보유하고 있었을 것이다.

의대 내에서 필요한 학습능력 중 90%는 암기력이고 나머지는 사고력이 차지하고 있다. 우리가 6년동안 졸업을 위해 해야할 일은 교수님의 설명을 듣고 이해하고, 이해한 내용을 그저 암기하면 되는 것이다. 사고력조차 필요없는 때도 있다. 공부량이 너무 많아져버리면 대개 “닥치고 외우는”, 암기력 100%의 학습을 할 때도 있다. 의대의 마지막 학년에 접어든 지금 우리는 그림에서와 마찬가지로 창의력을 모두 잃어버렸다.

창의력은 “왜?”라는 질문에서부터 시작한다고 생각한다. 당연한 말 한마디에 “왜?”라는 물음을 던지는 순간 사고력이 시작되고 논리의 빈틈이 보이는 순간 창의력이 시작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의대생들이 던지는 “왜?”라는 질문은 싱겁게 끝나는 경우가 많다. 대개 그 물음의 답은 “교과서에 그렇게 써있어” 혹은 “교수님이 그렇게 말씀하셨어”이다.

마치 종교와 같다(이 부분은 나중에 더 생각해보고 싶다). “우리는 왜 그렇게 행동해야해?”라는 질문에 “성경에 써있어” 혹은 “하느님이 그렇게 말씀하셨어”라고 말하는 것과 흡사하다. 과학의 발전으로 지식은 차곡차곡 쌓여가지만 생각의 회로는 더욱 짧아져가는 요즘이다. (사실 과학의 발전에 의사가 기여한 것은 거의 없을 것 같다.)

책만 봐서는 창의력을 절대 얻을 수 없다. 의대생 집단에 속해있다고 해서 다른 의대생들이 하는대로 행동해서도 안 된다. 그렇게 5년을 살아왔고 그렇게 해야만 하는 1년이 앞에 놓여있다. 집단과 다르게 행동하는 것은 눈에 띌 뿐만 아니라 매우 외롭기 짝이 없다. 성적에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다면 상관 없겠지만, 그럴 수 없는 상황이라 시험 공부는 남들처럼 할 수밖에 없다. 시험이 끝나고 다들 들로 산으로 놀러 다니고 술에 취해가는 밤에 외로이 무언가를 이어나가야 한다.

사회에 나가는 순간(병원에 들어가는 순간), 창의력은 그대로 0으로 곤두박질 칠 것이 분명하다. 인턴이 끝나고 다시 나의 삶이 시작될 때, 먼 훗날 연구할 기회를 잡게 된 순간에 창의력이 다시금 빛나길 바라는 마음에서 이번 1년은 창의력 증진에 초점을 맞춰야겠다.

 

Write your comment Here